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알기 쉬운 고교학점제

(5)
고교학점제 :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교육 최근 대부분의 교육 분야의 변화 방향성은 시대와 사회의 변화를 담아내고 그것을 반영하려는 시도일만큼 최근 우리가 사는 세상은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그리고 발 빠른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교육이라는 것이 앞으로의 시대를 살아갈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에 공교육 그리고 당장 성인이 되어 독립적인 사회인이 될 고등학생의 교육에 있어서 시대를 반영하는 것은 가장 중요합니다. 고교학점제는 그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는 새로운 교육 체제입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고교학점제 교육부는 추진 배경에서 그림과 같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요소를 가장 먼저 제시했습니다.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인간 공유의 창의적 상상력과 공감 능력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인간의 지식 ..
고교학점제 : 교과 편성 개편과 평가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보통교과와 전문교과Ⅰ,Ⅱ로 구성된 현 제도에서 전문교과Ⅰ이 보통교과로 들어와 선택 교과군이 다양해지는 방식으로 변화됩니다. 선택과목의 변화 그림과 같이 보통교과에서 공통과목은 그대로 유지되고 선택 과목이 일반 선택, 융합 선택, 진로 선택으로 더욱 세분화됩니다. 전문교과 영역은 직업계 특성화고에서 운영되는 과목에서 더 세분화되며, 특목고에서 운영했던 전문교과는 보통교과 선택 과목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기존의 전문교과Ⅰ의 과목은 일반고에서는 개설하지 않아도 되지만 융합 선택 교과, 진로 선택 교과 영역에서 다양한 과목을 구성하려면 기존의 전문교과Ⅰ에 해당하는 과목을 개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평가 방식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6단계 평가 체제로 바뀌고, 공통과목만 석차 등급을 병기하며 ..
고교학점제 : 성취평가(절대평가)와 졸업요건 성취평가를 실시해서 각 과목의 이수 조건을 맞추면 이수, 그렇지 못하면 미이수 처리를 하고 기준 졸업 학점에 도달하면 졸업이 가능한 제도입니다. 성취 수준을 어떻게 설정하는지, 그리고 성취평가는 어떠한 방식으로 실시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취평가란? 그림과 같이 현행 성취도 평가는 A부터 E까지 5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2025년도부터는 6단계 평가 체제입니다. 그리고 가장 낮은 단계인 I 단계는 미이수 처리가 되는 것입니다. I 단계의 성취율은 40% 미만으로 이 비율은 이수 학생 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교과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과 관련한 성취도 40% 수준을 평가 계획 등을 통해 구성하는 것입니다. 성취율과 관련한 교과 내용 구성 및 수업 ..
고교학점제 : 학점제 운영 방식과 미이수 처리 제도 가장 먼저 살펴볼 내용은 ‘학점제 운영’입니다. 교사들의 경우 고교학점제에서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 학점제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시행하느냐와 관련된 내용일 텐데, 학점제 운영방식은 어떠한지 살펴보겠습니다. 학점제 운영 방식 이전과 크게 달라진 것은 빨간색 점선 표시가 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2009 개정 교육과정부터 심화 교과 등에 관한 선택형 수업을 운영해왔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것뿐이나 낯선 과정은 아닙니다. 변화의 핵심은 지금까지 출석을 기준으로 졸업 요건을 설정했는데 이제는 출석과 학점 취득을 기준으로 졸업 요건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성취평가를 실시해서 각 과목의 이수 조건을 맞추면 이수, 그렇지 못하면 미이수 처리를 하고 기준 졸업 학점에 도달하면 졸업이 가능한 제도입니다. 미이수 처리 ..
고교학점제 역사적 배경 : 존 듀이의 실험 존 듀이의 실험 1896년 19세기 미국의 급속한 산업화와 현대 교육의 확장기에 존 듀이는 아이들이 개인의 관심사와 능력에 따라 과목을 공부할 수 있도록 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듀이의 실험은 경험을 통해 학습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 실험은 계속 진화하고 확대되어 학생 중심의 교육의 발전에 큰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학생 중심 교육의 중요성 듀이는 학생 중심 교육 철학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듀이에 따르면, 효과적인 교육은 정보를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선택과 학습을 통해 그것을 실현하는 것이었습니. 그는 학교가 작은 사회이고 아이들이 사회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 방법과 윤리적 가치를 배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공간이라고 믿었습니다. 8년간의 연구 1933~1941년 진보교육협회가 실시한 '..

반응형